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59

종실용 들깨 씨앗 직접 심기 / 들깨씨앗 직파하기 / 들깨씨앗 심기 심는방법 장마가 시작되어 하루 종일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데 종실용 들깨 씨앗을 심었는데요. 오늘은 6월 21일로 중부지방중심 들깨씨앗을 직접 심으려면 서둘러 심어야 되기 때문입니다. 모종으로 심을 경우 보통 7월 10일까지는 심기를 마쳐야 되는데요. 씨앗으로 심을 경우 모종 심는 시기 20~30일 전까지는 심어야 되기 때문입니다. 종실용 들깨 씨앗 파종하기들깨씨앗은 종실용 들깨로 품종은 '다유' 들깨 씨앗인데요. 농사를 짓다 보면 허리 무릎도 아파 좀 더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생각하다 올해는 재배지에 직접 씨앗을 심어보려 합니다. 처음시도해 보는 방법이기 때문에 싹을 틔우지 않는 곳을 생각해서 트레이에도 씨앗을 파종해서 나오지 않는 곳에는 보식(안 난 곳 다시 심음)을 하려고 합니다. 재배지는 자갈밭으.. 2025. 6. 21.
한지형마늘 수확후 보관방법 수확한 마늘 다듬는 방법 한지형 마늘을 어제 수확해서 베란다에 두었는데요. 오늘은 마늘을 다듬어서 나무막대를 연결해 만든 마늘걸이대에 걸어 보관하려고 합니다. 마늘보관 시의 주의할 점은 바람이 잘 통하고 습기가 없는 햇볕이 들지 않는 곳에 보관해야 마늘이 상하지 않는데요. 수확한 마늘을 보관하기 위해 다듬는 방법 보관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한지형 마늘 수확 후 보관하는 방법지난해 10월 17일 심은 한지형 마늘을 어제 6월 18일 마늘심은지 약 240여 일 만에 수확했는데요. 수확하는 방법은 줄기윗부분을 잘라내고 비닐을 걷어내면서 삽으로 깊이 파서 땅이 들뜨면 줄기채 잡아당기면서 뽑으면 잘 뽑아집니다. 마늘줄기가 40cm 정도길이가 되게 두고 남은 부분을 잘라주었는데요. 마늘줄기를 길게 40cm 정도로 하는 .. 2025. 6. 19.
자주감자 수확후 팥 녹두 심기 / 중부지방 녹두심는 시기 오늘 6월 18일 햇볕이 쨍하게 맑은 날씨를 보여 자주감자를 수확하고 감자 심었던 밭에 팥 녹두를 심었는데요. 감자줄기잎이 누렇게 변해 쓰러지고 있어 수확시기가 된 걸 알 수 있는데요. 감자싹이 튼튼하게 나왔던 자주 씨감자는 보통 정도의 수확을 했는데요. 두백감자는 큰 감자가 보이지 않습니다. 씨감자는 따로 구입하지 않고 지난해 수확한 감자를 보관해 두었다 싹을 틔워 심은 건데요. 확실히 싹이 잘 튼 자주감자가 수확량이 더 많은 것 같고 싹이 가늘게 늦게 나온 두백감자를 심은 곳에는 생육이 불량해 감자가 크지도 않고 수량도 많지 않네요. 감자를 캘 때는 줄기채 잡아당겨 비닐을 벗겨내고 호미로 찍히지 않게 캐는데요. 호미는 위에서 아래로 향하게 하지 않고 옆으로 눕혀서 비스듬히 캐면 찍히지 않게.. 2025. 6. 18.
팥(적두)파종시기, 심는 방법, 심는 간격, 심는 깊이, 수확시기, 이랑(밭)만들기 6월 중하순쯤 마늘 감자 수확 후 덩굴성 붉은팥(적두)을 심어 팥죽 수수팥떡 떡고물등으로 이용하고 있는데요. 팥 재배법으로 파종시기 심는 방법 수확시기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팥(적두) 재배법 ] 1. 파종시기팥 파종시기는 중남부지방 중심 보통 6월 중 하순경 마늘 감자 수확 후 파종하는데요. 남부 지방은 6월 하순~7월 상순, 중북부지방은 6월 중순~하순경입니다. 늦어도 7월 상중순까지는 파종하는 것이 좋은데요. 너무 일찍 파종하면 영양생장이 과도하게 일어나 잎이 무성하여 쓰러지거나(도복) 병해 발생으로 수확량이 감소하므로 적기에 파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북부 지방 6월 중순 ~하순 / 한계기 ~ 7월 상순남부 지방 6월 하순~7월 상순 / 한계기 ~ 7월 중순 2. 밭(재배지) 만들.. 2025. 6. 10.
한번의 씨앗파종으로 계속 먹을수 있는 도라지, 봄에 파종한 도라지 더덕 고들빼기, 더덕,도라지, 고들빼기 그림, 더덕파종하는 방법 텃밭에 도라지 씨앗을 파종해 놓으면 필요할 때마다 조금씩 캐와서 도라지무침 등으로 계속 이용할 수 있는데요. 지난해 파종해 훌쩍 자란 도라지 올해 또 파종한 도라지 더덕 고들빼기가 쑥쑥 자라고 있는데요. 도라지는 자연적으로 씨앗이 떨어져 빼곡히 싹을 틔우고 있어 솎음작업을 해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옆에 넝쿨성더덕도 싹이 많이 나오고 고들빼기 싹도 많이 자라고 있어 빼곡한 곳은 솎어주어 뿌리가 굵게 자라게 해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봄에 파종한 도라지 더덕 고들빼기는 싹이 많이 나왔는데요. 잔데는 싹이 보이지 않네요. 한 번의 씨뿌림으로 계속 이용할 수 있는 도라지 지난해 파종한 도라지가 키가 훌쩍 자라 비 좁은 곳의 도라지는 부분적으로 캐와서 남은 도라지 뿌리가 굵게 자라게 해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2025. 6. 3.
호박 곁순제거(순지르기,적심) 하는 방법 - 미니단호박(보우짱), 곁순제거(적심, 순지르기)하는 방법 - 맷돌호박 곁순(적심, 순지르기)제거 하는 법 - 호박 순지르기 하는 시기 아침부터 햇볕이 쨍쨍한 맑은 날씨를 보여 미니단호박(보우짱), 맷돌호박 곁순제거 순 지르기(적심)를 했는데요. 순 정리를 하지 않은 미니단호박에 곁순이 많이도 나왔습니다. 적심, 곁순제거를 하는 이유는 새순(곁순)이 나오는 대로 다 놔두면 잎과 줄기가 서로 엉켜 열매를 많이 달지 못하고 달려도 크기가 작으며 통풍불량으로 병해충이 발생할 수 있고, 맛이 없고 좋은 열매를 수확할 수 없기 때문인데요. 곁순제거(순 지르기)를 알맞은 시기에 해주는 것이 영양분 손실이 되지 않아 충실한 열매를 수확할 수 있는 방법으로 미니단호박 재배 시 곁순제거, 적심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떡잎, 누런 잎도 따주고 땅에 닿는 잎도 따서 통풍이 잘되고 불필요한 잎으로 영양분이 가지 않게 정리를 해 주었습니다. .. 2025. 5. 27.
서리태 재배 법 - 1모작, 2모작에 따른 파종 시기, 지역별 파종시기, 파종방법, 재배지 환경 조건, 심는 간격, 심는 서리태 콩 숫자 서리태 재배 시 생육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보통 2~3번 정도 순 지르기를 해서 다수확을 하기도 하는데요. 다수확을 하기 위한 조건은 파종시기, 재배지 환경, 심는 간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파종시기는 중부지방 중심 5월 중하순, 남부지방 5월 하순 ~6월 초순경부터 직파할 수 있습니다. 2 모작으로 씨앗을 직접 파종하거나 모종을 키우거나 사서 심는 시기는 마늘, 감자 수확 후 곧바로 모종을 심거나 씨앗을 파종할 수 있는 6월 중 하순경으로 모종으로 심을 경우 7월 초순까지는 심는 것이 좋습니다. 이곳은 중부지방으로 5월 21일 서리태를 밭둑에 파종했는데요. 서리태 파종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 서리태 파종하는 법 ]재배지 환경, 심는 간격중부지방 중심 5월 중 하순.. 2025. 5. 22.
양배추 1차 웃거름주고 청벌레 잡기, 1차 추비주는 시기, 재배기간, 봄양배추 심는시기, 심는간격 양배추 몇 개를 텃밭에 심고 한랭사로 씌워 두었는데요. 1차 웃거름을 주려고 한랭사를 벗기고 양배추를 살펴보니 2~3 포기는 청벌레가 양배추잎을 거의 다 갉아먹어 앙상한 모습을 보이네요. 구멍이 송송 뚫린 벼룩잎벌레의 피해도 있는데요. 청벌레 잡고 1차 추비 준 내용을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양배추 1차 추비 주고 청벌레 잡기 양배추 모종을 심고 하얀 나비가 날아들어 잎에 알을 낳지 못하게 한랭사로 덮어두었는데요. 1차 추비 주려고 한랭사를 벗겨보니 2~3포 정도가 잎을 다 갉아먹고 있는 청벌레가 보이네요. 청벌레가 잎을 얼마나 갉아먹었는지 엉성합니다. 자세히 보니 잎에 붙어서 계속 잎을 갉아먹고 있는데요. 보이는 대로 큰 청벌레를 제거하고 작은놈은 잘 보이지 않아 양배추잎을 손으로 툭툭 쳐 .. 2025.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