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30일 서리태 2차 순 지르기를 했는데요. 어떻게 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서리태 2차 순 지르기, 방법
5월 28일 콩나물처럼 웃자란 서리태 모종을 본밭에 심고 6월 17일 서리태 1차 순 지르기를 했는데요. 비가 와서 그런지 서리태 잎이 무성하네요. 잎이 너무 무성해서 잎자루까지 잘라내는 강적심을 했습니다.
2차 순 지르기 방법
서리태는 생육상태에 따라 1~3차까지 꽃이 피기 전에 순 지르기를 할 수 있는데요. 토양은 사질토로 거름기가 없는데 생육상태가 좋아 잎이 무성합니다. 생육상태가 빨라 잎이 무성할 때는 잎자루까지 잘라내는 강적심을 하기도 하는데요.
1차 적심을 해서 곁가지가 발생하면 곁가지가 10~15cm 정도 자랐을 때 2차 적심을 하는데요. 보통 2차 ~3차 적심 할 때쯤은 잎이 무성하면 강적심을 하기도 합니다. 방법은 가위로 1차 순 지르고 곁가지가 발생해 15cm 정도 자란 줄기 부분을 잘라줍니다. 서리태 키는 약 40~50cm 정도 됩니다.
곁가지가 아래쪽 마디에서 자라 길이가 짧은 10cm 이하의 짧은 줄기의 생장점은 자르지 않아도 됩니다.
주 적심 대상은 곁가지가 윗부분에서 자라 15cm 정도 자란 순을 우선적으로 잘라줍니다. 강적심을 할 때는 낫이나 가위로 수평으로 똑같이 잎, 잎자루 생장점을 잘라내주는데요. 아직 아래쪽에서 나온 곁가지 중에 중앙부가 아닌 가장자리의 곁가지는 15cm 이하로 자랐으면 생장점만 잘라주면 됩니다.
곁가지를 적심 할 때는 윗부분의 곁가지 우선으로 강적심을 하고 아래쪽에서 나온 곁가지는 생장점을 잘라주면 됩니다. 재배면적이 넓을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똑같이 수평으로 예초기, 낫으로 잘라내는 방법으로 순 지르기를 해줍니다.
생육상태가 좋을 경우일 때 잎이 너무 무성해 우거졌을 때는 잎자루까지 과감하게 잘라내야 통풍이 잘되고 일조량이 많아 튼실하게 자랍니다.
앞으로 1번 정도 더 순 지르기를 해줘도 될 것 같습니다. 토양은 사질토, 통풍이 잘되는 밭둑가에 심었는데요. 밭 모퉁이에 심어놓은 맷돌호박 덩굴이 서리태 있는 곳까지 뻗어 나오고 있습니다.
호박잎이 통풍에 방해가 되어 좀 더 20cm 정도 자란 다음 2차 순 지르기를 하려고 생각하다 잎이 너무 무성해서 서리태 중앙부 쪽으로 1차 순 지르기 해서 나온 곁가지를 15cm 정도에서 강적심을 하고 10cm 이하로 자란 곁가지는 순 지르기를 생략했습니다. 곁가지가 자라지 않은 상태(10cm 이하)에서 순 지르기를 하면 서리태 아래쪽 줄기에 다닥다닥 콩이 달려 마디간 공간이 좁고 호박잎하고도 겹쳐 통풍에 영향을 줄 것 같아서입니다.
콩나물처럼 웃자라 제대로 뿌리활착을 할까 했던 서리태, 생육상태가 좋아 잎자루까지 잘라내는 강적심을 해주었습니다. 순 지르기를 심는 간격, 통풍 일조량을 참조해서 서리태가 웃자라지 않아 도복이 되지 않고 좋은 환경에서 자라게 만들어 주어야 통통하게 영근 서리태를 수확할 수 있는데요.
재배지가 주변보다 지대가 높거나 낮을 경우 통풍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재배지 지대가 주변보다 높을 경우 15cm 정도 또는 주변보다 낮을 경우 20cm 정도로 해줄지는 밭 환경상태를 고려해서 생육이 좋을 때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마디간격을 너무 짧게 해서 10cm 정도 길이에서 순 지르기를 하면 콩이 다닥다닥 붙어 통풍이 안되고 메주콩 같은 경우 서로 닿아 멍이 들기도 하는데요. 너무 길게 20cm 이상의 길이로 순 지르기를 하면 장마 시 도복이 될 수도 있습니다.
마늘수확 후 심은 서리태는 아직 본엽이 4~5개 정도 나와서 1차 순 지르기도 하지 않았는데요. 순 지르기는 꼭 해야 되는 건 아니고 생육상태에 따라 순 지르기를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서리태 정식 16일 차 1차 순 지르기(적심) , 1차 순지르기 하는 시기, 이유, 방법, 잎의 발생 순서(본엽 그림)
서리태 정식 16일 차 1차 순지르기(적심) , 1차 순지르기 하는 시기, 이유, 방법 , 잎의 발생 순서(
5월 28일 콩나물처럼 웃자란 서리태모종 심고 16일 차 되는 6월 12일 1차 순 지르기를 했습니다. 보통 본엽 5~8매 정도 나오면 1차 순 지르기를 하는데요. 1차 순 지르는 시기, 순 지르는 이유, 방법에
smilentree.tistory.com
웃자란 서리태 모종 심기 - 발아기간, 서리태 심는 개수, 심는 간격, 방법 / 서리태 모종과 직파 법 장단점
웃자란 서리태 모종 심기 - 발아기간, 서리태 심는갯수, 심는간격, 방법 / 서리태 모종 과 직파 법
서리태 모종이 콩나물처럼 쑥 자라 있네요. 더 이상 놔두면 키가 커서 부러질 것 같아 본밭에 옮겨 심었는데요. 웃자란 서리태 모종 심는 방법과 심는 간격, 서리태 직파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
smilentree.tistory.com
서리태콩 파종시기 심는방법 간격 순지르기 재배법
서리태는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 불릴 정도로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한데 서리를 맞으면서 영글어 간다고 해서 서리태콩이 라고 합니다. 밥에 넣어먹거나 콩조림을 해 먹어도 맛있는 서리태콩을
smilentree.tistory.com
들깨재배 법(종실용) ㅡ 파종시기, 파종하는 법, 모종 심는 법, 개화기, 수확시기
들깨재배 법(종실용) ㅡ 파종시기, 파종하는 법, 모종 심는 법, 개화기, 수확시기
들깨는 재배기간이 약 130여 일 정도 되는데요. 파종시기에 맞춰 씨앗을 파종하고 수확해서 들기름을 짜거나 기피를 내서 들깻가루로 만들어 각종 탕재료와 나물무침 등으로 이용하는데요. 종실
smilentree.tistory.com
'농사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니단호박 보우짱 2차 수확, 찜기에 찌는 방법 (4) | 2024.07.20 |
---|---|
미니단호박 보우짱 수확했네요. 수확하는 방법, 손질 법, 후숙 하기 (1) | 2024.07.14 |
김장용 고들빼기 텃밭에 파종하기, 파종시기, 파종하는 방법 / 팥 재파종 / 콩머리 나온 메주콩 한랭사로 덮어주기 (0) | 2024.06.27 |
미니단호박(보우짱) 재배법 6탄 - 흰가루병 발생, 원인, 방제법, / 받침대 사용 / 수확 적기 판단 법 / 수확하는 법 / 큐어링 / 저장기간 (0) | 2024.06.26 |
감자수확한 밭에 메주콩 심기, 메주콩 파종시기, 파종하는 법, 심는간격, 심는깊이, 메주콩 쓰임 (0) | 2024.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