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랗고 통통한 메주콩을 수확해 다발로 묶어서 텃밭에 말려두었는데요. 오늘 10월 28일 메주콩타작을 했습니다. 메주콩이 약 3kg 정도 나왔는데 통통하게 영근 메주콩을 다발로 묶어 말리고 타작해서 콩깍지를 날려버리고 통통하게 잘 영근 메주콩을 수확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메주콩 수확후 다발로 묶어 세워서 말리기
10월 26일 메주콩을 낫으로 밑동을 잘라서 작은 다발로 묶어 밭에 세워서 말렸는데요. 콩을 수확할 때는 콩대를 뽑아서 말리지 말고 낫으로 콩밑동을 베어 말리는 게 좋습니다. 콩뿌리째 뽑아서 말려 타작하면 뿌리에 흙이 붙어서 타작하는 포장 위에 흙덩이도 같이 있어서 콩을 선별할 때 흙이 너무 많아 콩반 흙반이 되기 때문입니다.
10월 27일 타작하기
며칠 더 말린 후 타작을 할까 하다 콩 수확을 콩잎이 거의 다 떨어지고 통통하게 영근콩을 수확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말라서 포장을 깔고 콩다발을 포장 위 타작하는 앞부분에 올려 막아서 콩알이 튀는 걸 막고 막대기로 콩대를 두드려 수확했습니다. 콩대를 두드려 타작할 때는 콩다발 앞뒤로 옆으로 막대로 고르게 두드려야 콩알이 쏙쏙 빠져나옵니다.
깔아놓은 포장 밖으로 튀어나간 콩알도 한 알 한 알 줍고 콩대를 두드려 나온 콩, 껍질, 부스러기, 먼지등은 바가지에 쓸어 담아 위에서 아래로 살살 떨어뜨려 검불은 날려버리고 아래로 떨어진 콩을 담아서 집으로 가져온 후 큰 다라에 담아 며칠 더 말리려고 합니다.
아직 콩껍질도 있고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덜 영근 콩도 있는데 챙이(키) 질을 해서 깨끗하게 콩을 가려내야겠습니다.
1차 타작하고 남은 콩대에도 아직 콩알이 조금 달려있어서 텃밭에 널어 말린 후 한번 더 두드려 수확하려 합니다.
보관법
콩을 깨끗하게 키 질을 해서 껍질 돌멩이 흙덩이, 부스러기 등을 가려내고 베란다 통풍이 잘되는 곳에 큰 대야에 담아 널어 말린 후 지퍼백 비닐봉지등에 담아 보관하는데 추운 겨울에는 자루 등에 담아 베란다에 보관하고(겨울) 장기 보관 시(내 년 메주콩 수확기까지)는 곰팡이가 생길 수 있으니 위생비닐에 담아 꼭 묶어서 냉장고, 냉장고야채칸등에 보관하면 됩니다.
김장무 옆 서리태도 거의 잎 줄기가 말라 수확기가 지난 콩대도 있고 아직 덜 영근 것도 있는데 며칠 안으로 서리태도 수확해서 잘 보관해 두어서 1년 동안 콩을 사지 않고 맛있게 콩조림을 하거나 밥에 넣어 먹기도 해서 해마다 조금씩 텃밭에 심고 있습니다.
텃밭에 통통하게 영근 메주콩을 낫으로 밑동을 베어 수확해서 다발로 묶어 세워 말린 메주콩을 타작하고 나온 콩이 3kg 정도 되네요. 메주콩은 볶아서 콩자반을 해놓으면 고소하고 콩국수, 청국장등을 만들어 먹으면 햇콩이라 고소하고 맛있습니다.
6월15일 파종한 메주콩을 파종 135일차만에 수확하고 타작한 이야기를 올려봅니다.
마늘 재배 - 마늘 심기(한지형 6쪽), 씨 마늘 준비, 마늘 심는 방법
마늘 재배 - 마늘 심기(한지형 6쪽), 씨 마늘 준비, 마늘 심는 방법
마늘밭 만들기를 마치고 지난 6월 14일 마늘수확을 해서 베란다 빨래건조대 등에 걸어두었던 마늘 중에 튼실한 걸로 10월 18일 오늘 마늘을 심었는데요 마늘종류는 한지형 마늘(6쪽 마늘)입니다.
smilentree.tistory.com
고들빼기 삭인후 손질법 고들빼기 김치맛있게 담그기
텃밭에 씨앗을 파종해서 5일 정도 소금물에 삭힌 후 찬물에 담가 군내는 없애고 쪽파를 넣어 고들빼기를 맛있게 담아보겠습니다. 고들빼기 삭인 후 손질법 고들빼기는 다듬어서 깨끗이 씻어 물:
smilentree.tistory.com
마늘 재배 방법(본격 마늘심기) 2탄
10월 22일 지난번에 마늘밭 만드는 기초작업을 하였죠. 오늘 본격적으로 마늘을 심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씨마늘 준비, 비닐작업, 마늘을 심고, 흙으로 덮어 마무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볼까요
smilentree.tistory.com
고소한 콩자반 만들기
재료 메주콩 1컵 서리태콩 약간 진간장 1큰술 쌀엿(물엿) 2큰술 대파 1/2 개 마늘 3쪽 통깨 1/2 큰술 고춧가루 약간 만드는 법 1 메주콩에 서리태콩을 약간 섞어 3-4번 깨끗이 씻어 물기가 빠지게 채
smilentree.tistory.com
'농사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늘 재배 (13일차) - 마늘심고 10여일만에 뾰족이 올라온 마늘싹, 마늘싹이 올라오면 할 일은? 마늘동해온도, 마늘덮어주는 시기 (1) | 2023.10.31 |
---|---|
서리태 수확 (159일차) - 수확시기, 수확하는 방법, 수확후 말리는 방법 (2) | 2023.10.30 |
김장무 수확시기 - 물 주지 않는(끊는) 시기, 어는 온도는? 무 효능 (2) | 2023.10.27 |
고들빼기 2차 수확 - 2차 파종시기, 마른오징어 넣고 고들빼기 김치담그기, 재배시 뿌리가 작은 이유는? (0) | 2023.10.26 |
결구가 늦은 김장배추 - 비료의 비효기간, 4종복합비료 엽면시비, 묶어주기, 배추가 얼기 시작하는 온도는? (1) | 2023.10.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