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낮에는 초여름 날씨를 보여 텃밭에서 잡초 제거를 하다 보면 등줄기에서 땀이 흐르는데요. 4월 하순경부터 5월 중순까지 심을 수 있는 대표적인 작물은 중부지방 중심 고추, 고구마, 참깨인 것 같습니다. 모종을 심거나 직파를 하기 전 약 3~4주 전에는 밭 만들기를 해서 준비를 해야 되는데요. 고추, 고구마 모종 심는 시기, 참깨 파종 시기를 알아보겠습니다.
고추 모종 심는 시기
벌써 고추모종을 심은 곳도 있는데요. 보통 4월 하순에서 5월 초순경에 많이 심는 것 같습니다. 재배지 준비는 늦어도 3~4주 전에는 시작하는데요. 석회를 뿌려 땅을 뒤엎어 골고루 섞어 알칼리성 땅으로 토양을 만들고 약 2주 전에는 완숙퇴비 1주 전에는 복합비료를 뿌려 흑색비닐 또는 배색비닐로 덮어 고추모종을 심을 준비를 합니다.
고추모종 심는 시기
늦서리가 끝난 후 맑은 날 깊지 않게 심기
중부지방 : 5월 상순(기후온난화에 따라 아주심기가 당겨지고 있음)
모종을 심기 전 기상예보를 참고해서 심어야 되는데요. 매년 기온이 내려가는 4월 25일경에 심은 고추는 저온피해를 받아 고추모종잎이 탄 것처럼 말라버리는데요. 그보다 일찍 심은 4월 20일 전후에 심은 모종은 저온피해를 입지 않기도 합니다. 이유는 일찍 심은 모종은 뿌리가 내려 활착이 됐고 4월 25일 전후에 심은 모종은 뿌리가 활착이 되기 전에 기온이 내려가 저온피해를 받기 때문입니다. 즉 뿌리가 활착 되기 전의 고추모종이 더욱 저온피해가 심합니다. 어쩌면 날씨를 살펴 4월 20일 전후에 심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는데요. 기상예보를 살펴 최적의 모종 심는 적기는 늦서리가 지난 5월 5일 이후에 심어야 안전하다고 하지만 고추는 1주일 정도만 일찍 심어도 성장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약 10일 전후의 기상예보를 참고해서 심는 것이 좋겠습니다.
고구마 모종 심는 시기
보통 많이 심는 꿀고구마를 해마다 심는데요. 황토흙에는 호박고구마가 잘 자라지 않는지 조금씩 심어보는데 모종이 잘살지 않고 꿀고구마는 황토흙과 잘 맞는지 해마다 많은 수확을 하는데요. 고구마 모종을 심을 재배지는 수분확보를 하는 게 중요한데요. 미리 밭을 만들고 두둑을 만들어 놓아 비가 와서 수분이 있을 때 비닐로 피복을 해놓아 모종을 심으면 모종이 죽지 않고 잘 사는 것 같습니다. 비닐은 배색비닐보다 흑색비닐로 피복하는 것에 잡초발생을 막을 수 있습니다. 예전에 배색비닐로 피복해 주었더니 가운데 하얀 비닐 부분으로 잡초가 얼마나 많이 나오는지 일일이 뽑아주느라 힘들었던 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비가 오지 않는다면 인위적으로 흙에 물을 줘서 뭉쳐지는 정도의 (약 60% 정도의 수분) 수분을 준후 비닐피복해 주면 모종을 심을 때 물을 주지 않고 심을 수 있어 편리하고 모종이 잘 산답니다.
고구마 모종 심는 시기
4월 중순부터 시작해서 6월 중순까지 마무리
중부지방 중심 보통 5월 초중순에 많이 심는 것 같습니다.
참깨 파종 시기
참깨는 해마다 흑임자 참깨를 직파방법으로 심고 있는데요. 몇 년 전 하나로마트에서 구입한 흑임자를 조금 남겨두었다 파종하고 또 수확한 흑임자를 냉장고에 보관해 두었다 종자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흑임자수확을 하고 김장총각무 파종을 위해 이른 시기 4월 초순경에도 파종해서 추우면 부직포로 덮어주기도 했는데요. 그러려면 몇 번의 손이 더 가고 번거로운데요. 이번에는 날씨를 살펴 적기에 파종하려고 합니다.
흑임자의 경우 덜 영근 것도 있어 하얀 것도 있는데요. 까맣고 통통한 흑임자를 20cm 간격으로 한 구멍에 3~4알식 파종 후 5cm 정도 자라면 2개 정도 놔둔 후 좀 더 큰 7cm 정도 돼서 2차 솎음을 해주는데요. 튼튼한 참깨 한 개를 놔두는 한 번의 솎음을 해주어도 됩니다. 심은 간격이 좁은 곳은 1개씩 넓은 곳은 2개씩 두었는데요. 되도록 한 구멍에 1개씩 놔두는 것이 통통하게 자라는 것 같습니다. 저희가 심는 흑임자는 가지가 생기는 가지참깨로 2개씩 놔두면 나중에 비좁아 일조량 통풍이 잘되지 않기 때문에 1개 정도 놔두고 솎아줍니다.
참깨 파종 시기는 (비닐멀칭시)
남부 : 4월 하순
중부 : 5월 상순 ~ 6월 상순 파종
고추는 거름기가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완숙퇴비는 밭의 비옥도에 따라 많이 넣거나 적게 넣는데요. 심는 간격을 40cm 이상으로 만들어주고 헛골의 넓이도 약 1m 정도 띄워두는 게 일조량이 풍부해 잘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좋은 모종을 고르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고구마는 작년까지 황토밭에서 꿀고구마를 재배했는데요. 거름은 넣지 않고 황토밭에 수분확보를 위해 두둑을 넓게 50cm 정도 높이는 15cm 정도로 해서 뿌리가 많고 마디간격이 짧은 튼튼한 모종을 수평심기해서 꽤 수확을 많이 했습니다. 사 직토일 경우 수평심기보다는 45도 각도로 심어야 가뭄을 덜 타는 것 같습니다.
두둑은 밭의 특성상 토질상태에 따라 높거나 낮게 하는데요. 황토밭 같은 질 땅은 조금 높게 해 주고 사질토 같은 곳은 조금 낮게 조절해서 하는 게 좋은 것 같습니다.
참깨는 농약사 종묘사에서 모종을 사서 심기도 하는데요. 저희는 해마다 수확한 흑임자를 냉장고 야채칸에 보관해 두었다 통통하게 영근 까만 걸로 파종하는데요., 작은 텃밭에 이모작을 하기 위해 이른 3월에 심어 부직포, 비닐로 덮어 키우기도 했는데요. 이번에는 조금 늦은 시기에 심어 부직포로 덮는 등의 수고를 덜려고 합니다.
참깨를 심을 때는 너무 얇게 덮어주면 발아는 잘되는데 조그맣게 나온 싹이 수분부족으로 말라버리기도 하기 때문에 발아가 조금 늦을 수는 있지만 3cm ~5cm 정도의 깊이로 심고 있습니다. 지난해 경험으로 보아 얕게 덮어준 곳은 뿌리가 얕게 있어 새싹이 말라버리기도 하는데요. 싹이 마르지 않게 새싹이 나오면 흙으로 북을 줘서 작고 얕게 자라 잡은 뿌리가 잘 자라게 해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씨앗을 직파하기 전 재배지에 물을 줘서 스며들어 수분이 있을 때 파종하면 발아를 도울 수 있습니다.
작물재배 시 작물특성에 따라 날씨 상태, 토심을 만들고(땅 깊이 뒤집기, 석회 뿌리기 등), 완숙퇴비를 넣거나 넣지 않고, 심는 간격 (일조량), 두둑높이, 넓이 (수분확보, 배수관리)를 참고해서 심고 무엇보다 부지런하게 자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농작물은 주인발걸음 소리 듣고 자란다는 옛말도 있는 거처럼요.
참깨재배법 - 파종시기, 밭 만들기, 심는 방법, 순 치기, 수확시기, 수확방법
참깨재배법 - 파종시기, 밭만들기, 심는방법, 순치기, 수확시기, 수확방법
참깨는 생육기간이 90~120일 정도의 단기성 작물로 텃밭에 씨앗을 파종해서 1년 동안 깨소금으로 활용하고 있는 흑임자 참깨 밭준비를 시작했습니다. 참깨 파종시기, 밭 만들기 등 참깨재배에 대
smilentree.tistory.com
들깨재배 법(종실용) ㅡ 파종시기, 파종하는 법, 모종 심는 법, 개화기, 수확시기
들깨재배 법(종실용) ㅡ 파종시기, 파종하는 법, 모종 심는 법, 개화기, 수확시기
들깨는 재배기간이 약 130여 일 정도 되는데요. 파종시기에 맞춰 씨앗을 파종하고 수확해서 들기름을 짜거나 기피를 내서 들깻가루로 만들어 각종 탕재료와 나물무침 등으로 이용하는데요. 종실
smilentree.tistory.com
고추 재배법 - 밭 만들기, 모종 심는 시기, 모종 고르는 법, 고추모종 심는 방법
고추 재배법 - 밭만들기, 모종 심는시기, 모종 고르는 법, 고추모종 심는 방법
고추밭을 만들고 모종을 본밭에 심어 재배하면 청고추, 붉은 고추를 수확할 수 있는데요. 고추재배법으로 밭 만들기 모종 심는 시기, 좋은 모종 고르는 법, 심는 방법에 대서 알아보겠습니다. 1.
smilentree.tistory.com
돌미나리 무침 만드는 법, 돌미나리 데치는 법, 돌미나리 다듬는 법, 돌미나리 효능
돌미나리 무침 만드는 법, 돌미나리 데치는 법, 돌미나리 다듬는 법, 돌미나리 효능
텃밭옆에 돌미나리밭처럼 돌미나리가 많이 올라왔는데요. 돌미나리 밑동을 싹싹 잘라와 향긋하고 파릇하게 무침을 만들어 돌미나리비빔밥을 만들었는데요. 야생미나리로 시장에서 파는 미나
smilentree.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