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일지379

10월에 심는 작물 (마늘, 시금치 파종) 10월에 심는 대표작물로 마늘이 있네요. 시금치 씨앗도 파종해서 겨울이나 이른 봄에 수확해서 먹을 수 있습니다. 마늘밭 준비 (약 5평) 9월 25일 석회 3kg 뿌리기 26일 석회 뿌린 곳 땅 뒤집기 27일 마늘밭 흙 고르기 돌 골라냄 10월 2일 완숙퇴비 4포 고르게 뿌려 뒤집어 섞어줌 10월 7일 붕사 30g 슈퍼원예 s 복합비료 500g 고르게 뿌려준 후 뒤집어 섞어줌 10월 12일 마늘 쪼개서 공기 잘 통하게 소쿠리에 담아 베란다에 보관 신문으로 덮음 (불량, 썩은 마늘 가려내고 흠이 없고 단단한 양질의 중간크기 마늘로 준비) 14일 마늘심기 마늘밭 돌 골라내고 판판하게 쇠스랑으로 정리 후 토양살균제 150g(광야(흑색 썩음 균핵병) 두둑윗면에 골고루 뿌려주고 살짝 흙과 섞어주고 비닐멀칭 후 핀.. 2023. 1. 8.
9월에 심는 작물(쪽파 알타리 적갓,청갓) 9월에는 김장채소 부재료를 많이 심는 것 같습니다. 22년을 기준으로 무얼 심었나 알아보겠습니다. 쪽파심기 9월 2일 고춧대 몇 개 뽑고 석회 뿌림 9월 3일 완숙퇴비 약간 뿌리고 쪽파종구 심었네요. (마늘전용 비닐로 멀칭을 하고 바로 심었는데 구멍이 뚫려있는 비닐이라 구멍에 큰 건 1개씩 작은 건 2개씩 심었습니다.) 9월 4일에는 씨앗으로 파종했던 고들빼기를 조금 수확했습니다. 9월 13일 알타리, 아욱, 돌산갓, 시금치 파종했습니다. (고춧대를 뽑고 파종했기 때문에 퇴비잔량이 많아 따로 거름을 하지 않고 씨앗을 파종했는데 모두 흩어뿌리기로 했습니다. 알타리는 줄뿌림으로 파종해도 되는데 작은 알타리를 좋아하기 때문에 흩어뿌리기로 했습니다. 나중에 솎음할 때 적당한 간격으로 하고 솎음한 채소는 겉절이를.. 2023. 1. 7.
8월에 심는 작물(김장배추 김장무) 8월이면 김장채소를 심는 달이네요. 22년 농사경험을 바탕으로 중부지방 기준으로 알아보겠습니다. 김장배추 22년에는 7월 27일에 배추씨앗을 파종(불암 3호, 황금배추, 휘파람골드) (대부분 모종을 심기 때문에 씨앗파종은 안 해도 됩니다.) 김장무 씨앗은 청운무를 파종했습니다. 김장밭 만들기 7월 10일 석회고토 뿌리고 땅 뒤집어줌 7월 23일 퇴비 뿌리고 섞어줌 8월 1일 복합비료, 붕사를 뿌리고 쇠스랑으로 고르게 섞었네요. 8월 8일 김장무 (비멀칭, 풀 나지 않게 두둑에 검정비닐 씌워둠) 두둑넓이 60cm, 두둑높이 20cm 2줄 재배 계획 (비멀칭으로 할 거지만 검정비닐로 덮어놔서 풀자람 방지) 김장배추 (비닐멀칭해둠) 1줄 재배 2줄 두둑넓이 45cm 높이 20 cm 포기간격 40cm 시비량기준.. 2023. 1. 7.
대파 모종 심는 시기 ( 2판으로 1년먹기!! ) 대파는 씨앗파종이나 모종으로 심는데 조그만 텃밭에선 모종으로 심는 걸 권합니다. 대파모종 심는 시기는 3월 하순에서 5월 하순까지 8월 하순에서 9월 초경인데 땅이 여유가 있으면 5월 중하순쯤 시장에서 2단 정도 사서 심어놓고 크는 대로 수확하면 됩니다. 물 빠짐이 좋고 완숙퇴비를 충분히 해주면 잘 큽니다. 22년 4월 18일 농약사에서 대파모종 1판에 10000원을 주고 샀습니다. 또 한판은(1 다발)은 5월 20일 시장에서 1 다발(엄청 큼)을 13000 원주고 사서 6월부터 지금까지 먹고 아직 많이 남아서 설날 때도 먹고 남을 것 같습니다. 5월에 심은 대파도 심(대파가운데 딱딱한 것)이 생기지 않고 양호합니다. 4월 18일 농약사에서 구입한 대파는 트레이에 파종해서 파는 거의 하얀 뿌리만 있는 상.. 2023.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