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일지379

마늘밭 부직포 걷어주고 잡초 뽑아줬네요! 2월 27일 마늘밭 부직포 걷어줬습니다. 밤기온은 영하 3~4도 되지만 낮기온 이 영상 10도~12도 되네요. 마늘은 한지형 마늘로 영하 5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을 것 같아 부직포를 걷어줬습니다. 부직포를 쿠팡에서 두께가 40g 폭이 1.6m, 길이 50m짜리 28000원에 구입했는데 두께가 40g이라 너무 얇은 거 아닌가 하고 걱정했는데 주로 40g으로 많이 쓰는 것 같아 주문해서 덮어줬습니다. 텃밭에 햇살이 따듯하네요. 부직포 위가 볼록볼록해서 얼마나 자랐나 궁금해서 부직포를 얼른 걷으니 마늘싹이 파릇파릇 제법 많이 자랐네요. 지난겨울에 걱정이 되서 한쪽모서리 부직포를 살짝 들춰보니 마늘싹이 약간 희끗한 것도 있었는데 잎이 다 회복돼서 파릇파릇 자란 마늘싹이 너무 예쁘네요. 비닐 속으로 자란 마늘싹은.. 2023. 2. 27.
각종씨앗보관법/ 씨앗파종 월별 정리 벌써 2월도 중순이네요. 곧 3월이 되어 얼었던 땅이 녹으면 씨앗을 파종하고 밭준비하느라 바쁘겠죠. 냉장고 야채칸에 보관해 두었던 씨앗들을 꺼내서 정리했습니다. 씨앗파종하느라 뜯어진 씨앗봉지를 테이프로 밀봉해서 냉장고 야채칸에 보관하면 4~5년까지도 쓸 수 있습니다. 김장무 같은 경우는 씨앗 1 봉지에 500개~1000개 들어있는 것도 있기 때문에 씨앗값도 비싼데 냉장고 야채칸에 잘 보관해서 쓰고 있습니다. 22년에도 4년 동안 보관한 씨앗을 파종했는데 발아가 잘됐습니다. 씨앗별로 냉장고 야채칸에 보관해야 되는 것과 베란다에 보관해도 되는 것이 있는데 완두콩, 우엉, 열무, 얼갈이, 열무, 상추, 쑥갓, 시금치, 김장무, 알타리, 배추, 갓, 당근 등은 밀봉해서 냉장고 야채칸에 보관하고 감자도 신문지에 .. 2023. 2. 13.
작두콩 재배와 효능 작두콩은 덩굴성 식물로 그 모양이 작두 모양처럼 생겨서 작두콩이라고 부른다고 하네요. 따듯한 성질을 지닌 작두콩은 영양이 풍부한데 부작용도 있어 10알 이내로 먹어야 된답니다. "비타민A, C가 풍부해서 시력개선에 좋고 면역력 강화, 피로해소, 야맹증에 좋답니다. 축농증, 위염, 대장염등에 효과가 크고, 사포닌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지방흡수를 지연시켜 체중증가억제, 변비예방에 효과적이랍니다. 에 장과 위를 보호하고 속을 따듯하게 해주는 약재로 기록되 있다네요. " 두산백과 발췌 부작용으로 복통,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고 하니 그런 증세가 있으면 바로 중단해야 된답니다. 작두콩은 소량만 심어서 그런지 크게 재배법은 필요치 않고 덩굴성이기 때문에 밭 가장자리에 2알씩 심어서 튼튼한 걸로 1알만 키우고 서로.. 2023. 1. 25.
호랑이 울타리콩(강낭콩) 재배법, 파종시기 호랑이 울타리콩은 덩굴성 강낭콩으로 재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맛이 포근포근하고 밥에 넣어먹으면 밥이 윤기가 돌고 맛있답니다. 1년에 2번 재배할수있어 이른 봄과 7월에 심어 2번 수확을 할 수 있습니다. 1차 재배 22년에는 4월 8일에 파종했네요. 밭 가장자리에 심어도 됩니다. 습에 약해서 두둑을 20cm 정도 높이고 두둑넓이는 40~50cm 정도면 됩니다. 그리고 완두콩과 강낭콩은 거름을 해야 되는 작물입니다. 많이 심지는 못하고 한쪽에 두둑을 만들고 완숙퇴비를 한 구멍에 한 삽정도 넣어 흙과 잘 섞어주고 비닐멀칭 후 그 위에 2알씩 심으면 됩니다. 1알씩 심는 걸 추천하지만 2알씩 심어 싹이 나오는 과정에서 튼튼한 걸로 놔두고 불량한 건 뽑아버리면 됩니다. 콩 심는 간격은 40cm 정도 넓게 해야 .. 2023.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