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일지381

[75일차] 메주콩 꼬투리가 많이 달렸어요. 메주콩 꽃이 피고 거의 약 한 달이 지났네요. 한 달 사이에 별로 해준 것은 없지만, 그래도 꼬투리가 많이 달렸어요. 메주콩 한 달간의 변화 꽃이 피고 한 달 동안 가끔씩 살충제를 주었어요. 대략 10일에 한번 정도? 고추 약 줄 때 같이 주었어요. 덕분에 노린재는 아직 보이지 않네요. 또, 장마에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대를 군데군데 박아주고 줄을 쳐주었습니다. 꼬투리가 달려있는 사진을 볼까요? 1줄로 심어서 그런지 햇볕을 잘 받아서 잘 크고 있는 것 같습니다. 메주콩은 메주를 쑤는 데 사용한다고 해서 메주콩으로 불리는데요 노란 콩 백태 흰콩으로도 불립니다. 여름에 물에 담가 불려두었다 푹 삶아서 믹서기에 갈아 생수로 농도를 맞추고 소금을 넣어 간을 하고 얼음을 넣어 시원하게 콩국수를 해 먹으면 고소하고 .. 2022. 8. 26.
[무 씨앗 뿌리기] 김장무 재배하기 1탄 김장 배추 심고 김장무 씨앗도 같이 파종하였습니다. 나중에 같이 먹으면 너무나 맛있을 것 같아요. 김장무 씨앗 심기[8/21] [1단계] : 이전 포스팅에서 가지고 온 사진인데요. 사진을 보면, 오른쪽에는 무를 위해 따로 두둑 하나를 마련해두었었죠. 검정 비닐을 벗겨내서, 땅을 곱고 평평하게 정돈해줍니다. [2단계] : 대략적으로 감을 잡기 위해 그림으로 표시해봤는데요. 두줄로 심는데, 양측 사이드로 10cm 정도 띄우고, 씨앗 파종 줄 간격은 40cm 점선을 따라서 씨앗을 뿌려줄 예정입니다. 높이는 20cm 정도면 됩니다. [3단계] : 곱고 평평한 땅 위에 위의 그림처럼 점선을 따라서 호미나 막대로 깊이 5cm 정도의 깊이로 홈을 냅니다. 막대로 깊이 5cm 정도의 일직선을 주욱 그어주시면 될 것 같.. 2022. 8. 26.
[김장배추 본밭에 정식하기] 김장밭 배추재배법 3탄 8/21에는 본잎이 5장 정도가 나와서 모종들을 본밭에 정식하였습니다. 본격적인 정식 과정에 대해 살펴볼까요? [준비단계] 포트에 심어져 있는 모종들에 물을 충분히 주어야 합니다. 물기가 있어야 포트에서 잘 빠져나오기도 하고, 본밭에 정식했을 때 수분이 충분해야 잘 자라니까요. 밭에 정식하기 전에 미리 물을 흠뻑 뿌려놓으면 됩니다. 또, 트레이에서 모종을 빼낼 때는, 위로 잡 아다니면 모종이 끊어지기 때문에, 트레이 밑을 손으로 조물조물 위로 밀어 올리면서, 상토를 잡으며 조심스럽게 들어 올리면 됩니다. 김장배추 본밭에 정식하기 [8/21] [1단계] : 김장밭 만들기 포스팅([김장밭 준비하기] 김장밭 만들기(퇴비, 복합비료, 붕사, 비닐멀칭 등))에서 가져온 사진이에요. 높이는 20cm, 넓이 45cm.. 2022. 8. 26.
[모종 정식할 때가 되었네요.] 김장밭 배추재배법 2탄 김장배추 모종 새싹이 쑥쑥 자라는데, 최근 비가 계속 왔었죠. 어린 새싹인데 비가 너무 와서 걱정도 되었지만, 그래도 잘 자라주고 있습니다. 한번 볼까요? 장마 속 새싹 지키기 [8/3~8/20] 8/3일의 김장배추 새싹의 모습을 먼저 보고 가겠습니다. 본잎 2개랑 떡잎이 앙증맞게 있는 모습이 귀엽습니다. 8/13일 차의 모습입니다. 비가 와서 한랭사를 씌웠었는데요. 너무 많이 오길래 비닐도 위에 씌워주었습니다. 날씨는 후덥지근하고 습해서 비닐을 완전히 덮진 않았고, 양 쪽 옆은 열어주어서 통풍이 되도록 해주었습니다. 비가 너무 와서 걱정되었는데, 그래도 잘 버텨주고 있네요. 물론 이 시기에는 상토에 수분기가 있어 따로 물을 주진 않았고, 무르게 자랄 것 같아서 칼슘제도 한번 더 주었습니다. 8/20일의.. 2022. 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