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재테크 및 투자공부18

결제해야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한경" 미리 알아보기(사용 후기) 한국경제 지문 신면과 모바일 한경을 같이 사용하며 매일 경제신문을 읽고 있는데요. 결제해야 확인할 수 있는 어플 내부 모습과 사용후기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결제하시기 전이라면, 모바일 한경이 어떤지 미리 참고해보세요. (직접 제 돈 주고 구매했습니다.) 1. 직관적인 사용법 아래의 화면이 모바일 한경의 메인화면입니다. 지문 신문이 그대로 어플에 담겨 있으며, 과거 신문들도 모두 조회가 가능합니다. 저희가 신문 보듯이 옆으로 슥슥 넘기면서 보면 되고, 특정 기사를 보고 싶으면 해당 부분을 탭 하면, 바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매일 다르긴 하지만, 전날 밤에 다음날 지면 신문이 미리 어플로 나와있는 경우도 간혹 있었습니다. (하지만, 내일신문을 미리 읽지는 않게 되네요 ㅎㅎ) 2. 스크랩 기능 기사를 .. 2022. 4. 7.
채권 정말 쉽게 이해하기 - 채권 가격과 금리의 관계 최근 경제뉴스를 보면 채권과 장단기 금리 역전 등 경제지표로 채권 이야기가 자주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식은 알겠는데, 채권은 무엇일까요? 채권의 의미와 가격 및 금리를 어떻게 살피는지 최대한 쉽게 설명해보았습니다. 채권이란? 쉽게 말해 채권은 돈을 빌려주면 받는 증서입니다. 당연히 언제 돈을 갚을 것인지, 돈을 빌려주는 대신 이자는 또 얼마를 받게 되는지가 기재가 되어있습니다. 그럼 이 내용을 바탕으로, 채권의 정의를 읽어볼까요? 채권(債券, 영어: bond)은 금융에서 유가 증권의 하나로 지급청구권이 표시된 채무증권이다. 즉 국가, 공공기관, 회사에게 돈을 빌려주고, 돈을 빌려준 대가로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증서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채권의 가격과 금리 금리는 무엇일까요? 쉽게 말하면.. 2022. 4. 3.
경제 공부와 재테크 시작하는 방법 - 정말 하나도 몰라도 시작할 수 있다! 경제공부를 시작하려고 마음은 먹어도, 막상 어려운 용어나 수치들에 지레 겁먹고 시작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경제 용어를 하나도 몰라도, 경제와 재테크를 재미있고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1. 오늘부터 가계부 쓰기 우선 가계부를 써야 합니다. 그냥 경제를 공부하려 하면 사실 지속이 되지 않습니다. 조금 하다가 어려워지면, '굳이 이걸 지금 내가 어렵게 배워야 할까?'라는 생각이 앞서기 때문이죠. 하지만 일단 가계부를 쓰면서 본인의 소비패턴과 소득 수준을 파악하면 저절로 재테크를 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됩니다. 소득이 부족하다면, 소득을 늘려야 할 방법과 필요성에 대해 절실히 느끼게 될 테고, 소비가 너무 많다면 소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 2022. 3. 29.
부동산 대출 용어 정리 - LTV, DTI, DSR의 뜻과 적용 사례 최근 부동산 대출규제 완화로 인해, 해당 용어들이 뉴스 기사에서 자주 보입니다. 나의 대출한도를 파악하는데 필수인 LTV, DTI, DSR 용어의 뜻과 적용 사례를 통해 의미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부동산 대출 규제 용어 정리 ◆ LTV(loan to value ratio) : 주택담보인정비율 적용 : 주택담보대출 의미 : 주택의 시세 대비 대출 한도액의 비율 즉, 주택의 가격 대비 몇 % 까지 대출이 가능한지 나타내는 비율 주택의 시세란 : KB 부동산 시세, 감정평가법인에 의뢰한 감정 가격, 국세청 기준시가, 한국 부동산원의 시세 4가지 중 1가지의 평가 자료를 사용하여 측정 사례 : LTV 규제비율이 70%, 주택의 시세가 1억 일 때의 대출은 7,000만 원까지 가능 ◆ DTI(Debt.. 2022.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