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일지

텃밭에 옥수수 순차적으로 재배 - 심는시기, 심는방법, 수확시기, 옥수수 고르는 법, 보관법, 맛있게 먹는 법

by 내_화분🌻새싹🌱쑥쑥♧🍀 2024. 3. 28.

텃밭에 옥수수를 빠르면 4월 상순부터 심기 시작해서 7월 상중순까지 심을 수 있는데요. 10~20일 간격으로 심으면 신선한 옥수수를 계속 수확해 쫀득하고 찰진 검정 찰옥수수(알찬흑찰)를 간식으로 먹을 수 있기 때문에 해마다 텃밭에 심어 재배하고 있습니다. 옥수수파종시기, 수확시기, 옥수수 고르는 법, 맛있게 먹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텃밭에 옥수수 재배 ]

1. 밭 만들기

옥수수수는 키가 2~3m 정도까지 자라는데요. 거름을 많이 주어야 수확이 많은 다비성 작물로 토양상태는 거름기가 많고 배수가 잘되며 적당한 수분유지를 해주는 것 이 좋습니다. 

 

①파종 2주 전 석회, 완숙퇴비 뿌리고 밭 갈기, 석회 10a당 300kg(3년마다 시용), 퇴비(가축분) 10a당 400~500kg

② 파종, 모종 심기 1주 전 복합비료 뿌리고 섞어주기, 비료포대 뒷면의 시비량 참고

③ 비닐멀칭 후 씨앗파종, 모종 심기

 

텃밭에 드문드문 2포기씩 심을 경우에는 씨앗파종할 곳에 완숙퇴비 1 삽정도를 넣고 복합비료 작게 한주먹을 넣어 흙과 잘 섞어준 후 1주일쯤 뒤에 파종하거나 모종을 심으면 됩니다. 잡초방지를 위해 검정비닐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옥수수씨앗 심을 둘레에 넉넉히 멀칭하고 심어주면 수분유지와 잡초발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텃밭농사를 짓다 보면  여러 작물을 좁은 토양에 심기 때문에 옥수수 심을 자리가 없어 밭 가장자리에 울타리처럼 심거나 틈이 나는 빈 곳에 몇 포기씩 심기도 합니다.  

 

 

2. 파종시기 

옥수수는 밤기온이 10℃ 이하가 되면 생육이 정지되고 영하로 내려가면 얼어 죽기 때문에 최저기온이 10 ℃ 이상, 가장 알맞은 밤기온은 16~18 ℃ , 생육적온은 25~30 ℃ 으로 따뜻한기후를 좋아합니다.

 

옥수수는 수확 후 하루가 지나도 맛이 떨어지므로 한꺼번에  파종해서 한꺼번에 수확하는 것보다 10~20일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파종해 수확하면 신선한 옥수수를 계속 수확할 수 있는데요. 파종시기는 직접 본밭에 파종하는 직파재배와 모종을 사거나 길러서 심는 육묘재배로 할 수 있습니다. 

 

봄파종 시

중북부 4월 중하순에서~ 5월 상순

남부 4 월상~하순

강원산간지역 4월 하순~5월 상순

 

중부지방 중심 노지재배 시 옥수수파종은 4월 중순에 파종하면 7월 하순에서 8월 상순경 수확할 수 있는데요. 2주일 간격으로 파종해서 순차적으로 수확할 수 있고 늦어도 7월 상중순까지 파종하면 9월 하순에서 10월 상순경까지 수확할 수 있습니다. 봄 파종은 빠른 파종으로 늦어서 피해가 있을 수 있으니 기상예보를 참고해서 파종하고 갑자기 추위가 닥치면 어린싹을 비닐 등으로 덮어주어 저온피해가 없도록 합니다.

 

여름파종

북부 지방 7월 초순까지

중부지방은 늦어도 7월 중순까지

남부지방은 7월 말(25일)까지  파종

 

7월 중순에 파종하면 10월 초중순경 수확할 수 있는데요. 7월 중순경보다 늦게 파종하면 수확기가 늦어져 10월 하순경 내리는 된서리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7월 중순까지는 파종하는 게 좋습니다.  6~7월 파종 시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은 장마철로 파종 후 씨앗이 부패할 수 있고 어린싹이 무를 수  있으므로 두둑을 높게 하고 배수로 정비, 병충해 방제를 철저히 해주는 게 중요합니다.

 

 

3. 씨앗준비, 모종 키우기

옥수수 씨앗종자는 지난해 통통하게 영근 검정 찰옥수수를 베란다 빨래건조대에 걸어두었다 사용하는데요. 올해는 노란 찰옥수수가 시력에 좋다고 해서 인터넷에서 100 립에 5900 원주고 구입했습니다. 옥수수는 색깔별로 효능도 다르기 때문에 골고루 먹고 싶기도 하고요.

 

옥수수는 수술(개꼬리)이 암술(수염)에 떨어져 수정되어 옥수수알이 열리는데 서로 다른 옥수수를 재배할 때는 200m는 떨어지게 재배해야 교잡종이 생기지 않습니다. 옥수수는 다른 품종이 있으면 꽃가루에 의해 서로 교잡가능성 있기 때문에 200~40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심거나 파종시기가 많이 차이 나게 심어야 되는데 흰색 옥수수를 심고 가까이 검은색 옥수수를 심으면 얼룩옥수수가 생기겠지요.

 

모종 키우기는 방법은

준비물로 육묘용 트레이, 상토, 씨앗을 준비합니다.

① 트레이에 상토를 부어줍니다.

(트레이가 없고 조금 심을 경우 종이컵을 이용해도 되는데요. 종이컵 아래에 물 빠질 구멍을 뚫어주고 상토를 붓고 씨앗을 넣고 상토로 덮어주고 물을 흠뻑 주면 됩니다.)

② 다른 트레이로 상토가 담긴트레이 위에 올려 꾹 눌러줍니다.

③ 씨앗을 1~2개씩 파종합니다. 트레이구가 클 경우 2개씩 작으면 1개씩

④상토로  덮어줍니다.

⑤ 씨앗이 보이지 않게 조심히 분무조루로 곱게  물을 흠뻑 줍니다.

 

모종을 키워 심을 경우 본밭에 심기 약 20~30일 전쯤에 파종하여 따듯한 곳에 두고 흙이 마르기전 하루에 2차례정도 물을 충분히 주어 모종을 기르는데요.. 정식 시 묘의 크기는 10~13cm, 본엽이 3~4개 정도가  적당합니다. 모종은 씨앗을 준비해 집에서 키워도 되고 농약사 종묘사등에서 구입해도 됩니다.

 

 

4. 심는 방법, 간격(노지재배)

심는 방법은

①  5cm 정도 깊이로 구덩이를 파줍니다. (비닐멀칭한 두둑 위에 적당한 간격으로 구멍을 뚫어줍니다.)

② 구덩이에 물을 흠뻑 줘서 흙을 촉촉하게 해 줍니다.

③ 물이 스며들었으면 씨앗을 1~2개씩 파종하는데 씨앗사이를 약 2~3cm 떨어지게 넣어줍니다.

④ 흙으로 덮어줍니다.

⑤ 덮어준 흙이 씻겨내리지 않게 곱게 물을 흠뻑 줍니다.

 

심는 간격은

보통 재식거리는 2줄 재배시 이랑너비 60cm ~70cm, 줄간격 30~40cm, 주간거리 25cm ~30cm로  1~2개씩 파종하는데 대부분 2개씩 파종합니다. 두둑높이는 밭토양상태를 살펴 물 빠짐 정도에 따라 10~30cm 정도 해주거나 비탈진 밭은 높이와 상관없이 그냥 심기도 합니다. 특히 여름철에 파종할 때는 두둑높이를 높게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저희는 텃밭농으로 밭작물을 심고 작은 틈새를 이용해서 밭 가장자리에 파종하거나 자투리 빈 곳을 찾아 드문 드문 파종 합니다.

 

 

5. 웃거름 주는 시기

웃거름 주는 시기는 심고 나서 무릎정도 크기로 컸을 때 약 40cm 정도로 크면 1차 웃거름을 주고, 2차 웃거름은 1차 추비 주고 생육상태를 살펴 주면 되는데요. 일반적으로 개꼬리(수술)가 나왔을 무렵 2차까지만 주기도 합니다. 1차 웃거름은 아직 어리기 때문에 포기사이에 흙을 파서 nk비료나 복합비료를 주면 되는데요. 1차 웃거름을 줄 때는 가까이 주지 말고 줄기에서 20cm 정도 떨어진 지점이나 포기사이에  흙을 파서 1큰술 정도의 nk비료를 넣고 흙으로 덮어주면 됩니다. 2차 웃거름은 비오기전후 헛골에 뿌려주면 됩니다.

 

거름기 정도를 알수 있는 방법은 옥수수 잎이 연노란색을 띠며 키가 작으면 거름기가 부족하고, 잎이 짙은 녹색이며 키가 크면 거름기가 많을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성장상태를 살펴 웃거름을 적절하게 주면 됩니다. 너무 건조해도 비료흡수가 되지 않아 생육이 부진하므로 흙이 촉촉할 정도로 유지해 주는 게 좋습니다.

 

 

6. 곁가지 제거?

곁가지가 나오면 제거해주기도 하고 그대로 방치하기도 하는데요.  곁가지는 옥수수가 자라는 데 있어 많은 양분을 빼앗지는 않아 제거하지 않고 놔두기도 하는데요. 잎수가 2~3개 나오는 초기에는 본잎에서 양분을 빼앗고, 4장 이상이 되면 양분을 원줄기로 보내서 성장을 돕고 뿌리가 발달해서 도복을 방지해주기도 하므로 제거 시에는 초기에 하는 게 좋은데요. 너무 어릴 때 따면 잘 따지지 않고 또 나오기 때문에 2~3회 나누어 따주는데 어느 정도 자란 후에(30cm 정도) 따주는 게 좋습니다. 제거할 때는 곁가지를 옆으로 젖혀서 상처가 나지 않게 제거해 줍니다.  단 밀식재배 시에는 통풍이 안될수 있으므로 곁가지를 제거해 주는 게 좋습니다.

 

 

7. 수확 시기

옥수수 수염(암술)이 달리면 언제쯤 수확해야 될까? 궁금해서 껍질을 까보기도 하는데요. 수확적기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수염이 나온 날짜를 기록해서 수염이 나온 뒤 일수, 이삭껍질을 벗겨 성숙도를 확인하기도 합니다..

 

수염이 나오는 날 기준

수확적기는 옥수수수염이 나오는 날을 기준

찰옥수수 수염이 나오고 23~27일

단 옥수수수염이 나온 후 20~23일경

 

생육기간

생육기간은 옥수수를 심고 80~100일 정도 지난 시기, 일반단옥수수는 90일 정도, 찰옥수수는 95~100일, 초당옥수수는 90~95일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껍질을 벗겨 알곡 성숙도 직접 확인

농사를 짓다 보면 파종날짜, 수염이 나온 날짜를 적어 놓지 않을 경우가 많은데요. 수염이 나오고 20여 일 정도 되면 껍질을 벗겨 옥수수알을 손톱으로 눌러서 뭉글뭉글한 덩어리가 나오며 알속에 풀이나 치즈와 같은 내용물이 많고 품종고유의 색을 띠고 있으며 눌렀을 때 탄력이 있으면 수확적기로 볼 수 있습니다. 수확은 하루 중 이삭자체의 온도가 낮고 이슬이 마르지 않은 이른  아침에 수확하는 것이 당도감소를 줄일 수 있습니다.

 

 

8. 옥수수 보관법

수확한 옥수수는 시간이 하루정도만 지나도 당이 50% 이하로 떨어지기 때문에 빨리 소비하는 게 좋은데요. 구입한 옥수수는 딱딱하게 굳어지기 전에 한꺼번에 찌거나 삶아  위생비닐로 잘 밀봉하여 냉동보관하는 게 제맛을 살리는 방법인데요. 냉동실에 보관해도 조금씩 품질이 나빠지므로 3개월 내에 다 먹는 것이 좋습니다.

 

 

9. 신선한 찰옥수수 고르는 법

신선한 옥수수는 겉껍질이  선명한 녹색을 띠고 메마르지 않고 갓 수확했을 때처럼 약간 수분기가 있고 싱싱하며 수염이 80% 정도 마르고 옥수수 중간 아랫부분을 눌렀을 때 탄력이 있고 알맹이가 촘촘하게 꽉 차있는 옥수수

 

유통기한이 오래되거나 늦게 수확한 옥수수는 겉껍질이 말라 건조해 보이며 수염이 윤기가 없고 진한갈색으로 말라있으며 눌렀을 때 딱딱해서 탄력이 없고 알맹이 색이 투명하지 않고  흐리고 투박한 경우는 고르지 않는 게 좋습니다.

 

 

10. 옥수수 맛있게 먹는 법

맛있게 찰옥수수를 먹는 방법은 삶는 것보다 쪄서 먹는 게 더 좋다고 하는데요. 찰옥수수를 찌는 방법은 속껍질을  2~3장 덮은 채 찌면 수분이 유지돼 촉촉하고 쫄깃한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신장에 좋은 옥수수수염도 제거하지 않고 같이 쪄서 먹을 때 떼어내고 먹기도 합니다. 

 

"찰옥수수 찌는 방법은

① 겉껍질을 제거하고 1~2번 씻어주고 속껍질 2~3장 남기고 수염 잘라 손질(수염은 그대로 넣어 쪄도 됩니다.)

② 넉넉한 찜통에 채반을 놓고 채반아래까지 물을 채운다

③ 옥수를 엇갈리게 쌓아 넣고 뚜껑을 닫고 센 불로 20~30분 찌고 10분간 뜸을 들입니다.

 

옥수수 삶는 방법은

설탕 소금을 넣어 달고 짭조름하게 삶아 먹기도 하는데요.

① 큰 냄비에 옥수수를 잘 손질하여 넣은 뒤 옥수수가 2/3 정도 잠기도록 물을 붓습니다.

② 취향에 따라 설탕 소금을 적당량 넣기도 하고 그대로 삶기도 하는데요. 소금, 설탕, 뉴슈가를 넣을 경우 적당량을 물에 넣어 녹여주고 간을 봅니다. 

③ 강한 불에서 25분 끓이다가 약한 불에서 15분 정도 뜸을 들입니다. "(농사로 출처)

 

 

11. 병충해, 열대거세미나방

열대거세미나방 피해가 심한데요. 옥수수에서 애벌레가 파먹은 분비물, 부스러기들이 보여 껍질을 벗겨보면 애벌레가 옥수수알, 옥수수 대까지 파먹고 있는 걸 볼 수 있는데요. 어린 유충이 보이면 살충제를 2회 정도 1주일 간격으로 뿌려 조기방제를 해야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단 옥수수수염이 달리면 20일 이후경 수확시기로 가급적 살충제를 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종이컵에 상토를 붓고 파종한 검정 찰옥수수 씨앗이 뾰족이 싹을 틔우고 있네요. 올해는 다른 옥수수도 먹고 싶어서 초당옥수수 노랑 단 옥수수 씨앗을 인터넷에서 구입했습니다. 노랑옥수수맛은 어떨까?  기대하면서 작은 텃밭에 옥수수 순차적으로 재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고추 재배법 - 밭만들기, 모종 심는 시기, 모종 고르는 법, 고추모종 심는 방법

 

고추 재배법 - 밭만들기, 모종 심는시기, 모종 고르는 법, 고추모종 심는 방법

고추밭을 만들고 모종을 본밭에 심어 재배하면 청고추, 붉은 고추를 수확할 수 있는데요. 고추재배법으로 밭 만들기 모종 심는 시기, 좋은 모종 고르는 법, 심는 방법에 대서 알아보겠습니다. 1.

smilentree.tistory.com

 

서리태(속청) 파종시기에 따른 순지르기 방법으로 다수확 재배 방법

 

서리태(속청) 파종시기에 따른 순지르기 방법으로 다수확 재배 방법

아침마다 서리태 30g, 아몬드 5개, 살짝 볶은 통들깨를 두유제조기로 두유를 만들어 아침식사대용으로 먹기도 하는데요 텃밭에 서리태를 조금씩 심어서 두유, 콩조림, 두부, 서리태를 넣은 영양

smilentree.tistory.com

서리태콩 파종시기 심는방법 간격 순 지르기 재배법

 

서리태콩 파종시기 심는방법 간격 순지르기 재배법

서리태는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 불릴 정도로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한데 서리를 맞으면서 영글어 간다고 해서 서리태콩이 라고 합니다. 밥에 넣어먹거나 콩조림을 해 먹어도 맛있는 서리태콩을

smilentree.tistory.com

호랑이 울타리콩(강낭콩) 재배법, 파종시기

 

호랑이 울타리콩(강낭콩) 재배법, 파종시기

호랑이 울타리콩은 덩굴성 강낭콩으로 재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맛이 포근포근하고 밥에 넣어먹으면 밥이 윤기가 돌고 맛있답니다. 1년에 2번 재배할수있어 이른 봄과 7월에 심어 2번 수확을

smilentree.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