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에 도라지 더덕, 잔데, 고들빼기를 파종했는데요. 도라지는 도라지무침 더덕은 더덕구이, 잔데는 잎과 뿌리로 무침을 해 먹고 고들빼기는 고들빼기김치를 좋아해서 조금씩 심었는데요. 파종시기 파종하는 법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재배지 만들기
재배지는 물 빠짐이 좋아 약 5~10cm 정도 높이로 해준후 20cm 정도로 깊이 파서 곱게 흙을 부수어 주고 잔돌은 골라내고 상토(또는 완숙퇴비)를 뿌려 고루 섞어주고 곱게 이랑을 만들어줍니다.
뿌리식물은 좀 깊이 20cm 이상으로 파서 잔돌도 골라내주어야 뿌리가 잘 자라는데요. 화학비료는 넣지 않고 완숙퇴비, 또는 분갈이하다 남은 상토를 섞어서 평평하게 곱게 이랑을 만들어줍니다.
1. 백도라지 파종하기
도라지 씨앗이 매우 작아 씨앗의 10배 정도의 고운 흙을 섞어주고 이랑 위에 골고루 흩어뿌리기를 해주었는데요. 이랑을 파다 보니 지난해 심은 도라지가 땅속에서 싹을 틔우로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네요.
씨앗을 흙과 섞어 이랑 위에 골고루 흩어 뿌린 후 잔돌을 골라낸 고운 흙을 씨앗을 뿌린 후에 골고루 뿌려 씨앗을 덮어주는데요. 씨앗의 10배 정도의 고운 흙과 섞어서 살짝 덮어준다는 느낌으로 얕게 덮어줍니다.
흙이 파이지 않게 곱게 분무조루로 물을 주고 주변의 짚으로 덮어주었는데요. 짚이 없으면 차광막이나 마른풀로 덮어 수분이 증발되지 않게 해 주어 발아를 돕고 잡초발생을 막아줍니다. 먼저 짚, 마른풀로 덮어준 후 곱게 물을 주어도 됩니다.
2. 더덕 씨앗 파종하기
더덕 씨앗은 납작하고 도라지 씨앗보다 커서 그냥 뿌려도 될 것 같은데요. 가벼워서 흙과 섞어서 뿌려주었습니다.
더덕구이을 좋아하기 때문에 곧게 크게 키우려고 줄 파종을 했는데요. 이랑 위에 5~10cm 간격으로 줄을 파서 흙과 섞어놓은 더덕 씨앗을 줄에 파종합니다. 골 양쪽 두둑으로 가볍게 덮어주고 물을 곱게 뿌려 짚으로 덮어주었네요.
옆두둑에 지난해 파종한 더덕이 뾰족이 싹이 올라오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3. 잔데 파종하기
잔 데는 어릴 적 산에 가면 잔데 싹은 뜯어서 무침으로 뿌리는 목마를 때 껍질을 까서 생으로 먹거나 고추장에 찍어먹기도 했는데요. 잔 데는 주로 야생으로 산에서 많이 산나물과 함께 뜯거나 캔 적이 있는데 약간 더덕과 비슷한데요. 어릴 적 추억이 생각나서 더덕과 같은 방법으로 더덕파종한 옆두둑에 흩어 뿌림으로 파종했습니다.
* 덮어주는 고운 흙은 옆헛골을 깊이 파면 흙이 수분기가 있는데요. 마른 흙보다는 헛골을 깊이 파서 수분기가 있는 흙으로 덮어줍니다. 가뭄으로 물을 집에서 떠 와야 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수분기가 있는 흙을 이용합니다.
4. 고들빼기 파종하기
고들빼기는 1년에 봄, 늦여름정도에 파종해서 고들빼기김치를 담그는데요. 고들빼기김치 특유의 약간 쓴맛과 뿌리의 식감을 좋아해서 해마다 파종하고 있습니다. 고들빼기 씨앗이 제일작아 잘 보이지도 않는데요. 작은 씨앗을 파종할 때는 약 10 배정도의 고운 흙과 골고루 섞어준 후이랑 위에 흩뿌려 파종하거나 줄뿌림파종을 해줍니다
고들빼기는 잎보다 뿌리를 더 좋아해서 줄뿌림을 해주었는데요. 뿌리가 굵게 자라게 해주려고 합니다. 흩뿌려놓거나 씨앗을 많이 뿌려놓으면 뿌리는 자라지 않고 잎만 무성한 걸 볼 수 있는데요. 싹이 나오면 솎음 작업을 해주어 뿌리가 굵게 자라게 해 줍니다. 솎은 고들빼기는 살짝 삶아 초고추장에 무쳐도 맛있습니다.
파종시기는
언 땅이 녹고 곧바로 파종해도 되는데요. 일찍 파종해도 되지만 뿌려놓은 씨앗은 발아온도가 되는 따뜻한 날씨가 되면 발아가 되기 때문에 수분이 마르지 않게 해 주는 게 중요한데요. 지난해 경험으로 보아 더덕 도라지는 파종 후 약 1달 정도 후에 싹이 나오는 걸 볼 수 있었습니다.
백도라지 파종기는 봄가을, 더덕 파종기는 3월 하순 ~ 4월 중순, 가을파종은 10월 중하순에 뿌립니다. 고들빼기는 3월 중순에서 5월 중순, 이듬해 수확할 파종은 9월 중순에서 11월 중순, 김장김치용은 7월 하순에 파종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잔 데는 더덕 파종할 때 파종하면 될 것 같습니다.
도라지옆에 더덕, 잔데 , 고들빼기를 이랑을 곱게 약 5~10cm 정도로 높이 만들었는데요. 배수가 잘되지 않은 황토 질 땅은 높이를 좀 더 높게 해 주어 장마철 뿌리가 부패하지 않게 해 줍니다.
뿌리식물은 삽으로 20cm 이상 깊게 파주어 잔돌을 골라내고 곱게 이랑을 만들어야 뿌리가 곧게 자라는데요. 재배지가 돌멩이가 많은 사질토로 돌을 골라내도 자꾸만 돌멩이가 나오네요.ㅎ
수확시기
보통 더덕 도라지는 파종 후 2년 정도에 수확을 하고 고들빼기는 1년에 2번 정도 수확하는데요. 도라지는 파종 후 보통 2년 만에 수확을 하는데요. 지난해 3월에 심은 도라지 더덕을 가을에 일부 수확 했는데요. 뿌리가 많이 자라진 않았지만 무침용으로 먹을 정도는 되는 것 같습니다.
작은 씨앗을 파종할 때는 고운 흙과 섞어준 후 파종해야 바람에 씨앗이 날리지도 않고 한 곳에 많이 파종되지 않습니다. 어느 정도 5cm 이상 자라면 솎음작업을 해주어 뿌리가 굵게 자라게 해 주고 필요할 때마다 파종한 도라지 더덕 잔데 고들빼기를 수확해 도라지무침 더덕구이 고들빼기김치로 이용할 수 있어 굳이 재래시장에 가지 않고 편리한 것 같습니다.
3월에 파종한 도라지 얼마나 자랐을까 - 도라지 파종시기, 파종하기, 발아기간, 파종하는 방법
3월에 파종한 도라지 얼마나 자랐을까 - 도라지 파종시기, 파종하기, 발아기간, 파종하는 방법
3월 15일 텃밭에 파종한 보라색도라지 가 얼마나 컸을까? 먹을 정도는 되나? 궁금해서 9월 5일 몇 뿌리 캐어봅니다. 줄기와 잎은 많이 자랐는데 뿌리는 아직 조그맣지만 그런대로 먹을 정도는 되
smilentree.tistory.com
고구마 재배과정 ㅡ 두둑 만드는 법, 모종 심는 시기, 심는 방법, 큐어링 처리 하는 법, 수확하는 법, 보관법
고구마 재배과정 ㅡ 두둑 만드는법, 모종 심는시기, 심는방법, 큐어링 처리 하는법, 수확하는법,
지난해 4월 19일 꿀고구마 모종 1단을 심어 10월 1일 수확했는데요. 재배기간은 약 160여 일 정도 됩니다. 가족들이 군고구마를 좋아해서 꿀고구마를 해마다 텃밭에 심고 있는데요. 고구마 두둑 만
smilentree.tistory.com
고추 재배법 - 밭 만들기, 모종 심는 시기, 모종 고르는 법, 고추모종 심는 방법
고추 재배법 - 밭만들기, 모종 심는시기, 모종 고르는 법, 고추모종 심는 방법
고추밭을 만들고 모종을 본밭에 심어 재배하면 청고추, 붉은 고추를 수확할 수 있는데요. 고추재배법으로 밭 만들기 모종 심는 시기, 좋은 모종 고르는 법, 심는 방법에 대서 알아보겠습니다. 1.
smilentree.tistory.com
싹 나온 하늘마, 열매마 종자 - 모종 만들기, 만드는 법
싹 나온 하늘마, 열매마 종자 - 모종 만들기, 만드는 법
종이상자에 담아 신문지로 덮어 거실에 두었던 하늘마가 싹이 많이 나왔네요. 하늘마 싹이 좀 더 자라게 놔둔 후 기온이 올라가는 4월 초 종자를 본밭에 심거나 모종을 만들어 늦추위가 지난 5
smilentree.tistory.com
'농사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넝쿨성 호랑이콩(강낭콩) 심었네요. 호랑이콩(강낭콩 ) 심는 시기, 파종시기,심는 방법, 파종 한계기, 수확시기 (0) | 2025.04.06 |
---|---|
자주감자 심었네요. 자주감자 심는 법, 진행과정, 서서 자주감자 심는 방법 (0) | 2025.03.27 |
싹 나온 하늘마, 열매마 종자 - 모종 만들기, 만드는 법 (0) | 2025.03.21 |
캠벨 포도나무 껍질 벗기기 - 껍질 벗기는 시기, 껍질 벗기는 기간, 이유, 벗기는 방법 (0) | 2025.03.19 |
지난해 많은 수확을 한 미니단호박 올해도 미니단호박(보우짱) 씨앗 파종하기, 파종 방법, 모종 만들기, 준비물, 미니단호박 활용도 (1) | 2025.03.02 |
댓글